AI 그림으로 NET 만들기 – 초보가 직접 해본 경험과 단계별 노하우

AI로 만든 그림도 NET으 팔 수 있을까? 최근에는 Midjourney, DALL·E 등으로 생성한 AI 이미지가 디지털 아트의 한 형태로 NET 시장에 등록되어 실제 판매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NET는 어렵고 복잡하다는 인식 때문에 시작을 망설이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처럼 NET이 낯선 분들을 위해, 제가 직접 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단계별로 정리해 봤어요.

입체 사각형이 크고 작은 형태로 나열되어 있고 주황색 불빚이 밝게 빛난다. 사각형은 빨간선으로 연결되어 NET을 표현한 모습

1단계. AI 그림 만들기

처음엔 Midjourney부터 시작했어요. 무료 체험으로 시작해 보니, 간단한 명령어 프롬프트만으로도 신기한 그림이 나와요.

  • 사용 툴: Midjourney, DALL·E, Leonardo AI
  • 권장 스타일: 제가 좋아하는 SF, 초현실 풍
  • 이미지 해상도: 최소 1024 px 이상, NET 용으로 적합하게 만들었고 배경 없는 PNG 파일도 만들었어요
  • 팁: AI 그림은 프롬프트를 다른 사람이 비슷하게 쓰면 비슷한 그림이 나오는데, 나만의 콘셉트를 잡아서 만들어야 해요.

2단계. 암호화폐 지갑 만들기

  • NET 판매를 위해 암호화폐 지갑이 필요합니다.
  • 지갑: MetaMask(가장 널리 사용)를 썼답니다.
  • 이메일 기반 간편 지갑도 일부 마켓에서 제공됨

3단계. NET 마켓 가입과 프로필 만들기

OpenSea가 가장 유명해서 시작했어요.

  • OpenSea – 글로벌 최대 NET 거래소, 영문 작성이 기본입니다.
  • Mintable – 쉬운 민팅 기능, 초보자용 많이 추천해요.
  • PALA – 국내 K-NET 마켓도 있습니다.

대부분 지갑 연결 → 프로필 생성 → NET 업로드 가능

4단계. NET 민팅(Minting)

민팅은 NET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것인데, 이때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 이미지 업로드 (JPG, PNG, GIF 등)
  • 제목 / 설명 작성 – 영문 권장
  • 로열티 설정 (2~10%) → 재판매 시 수익 발생, 5%로 설정했어요.
  • 민팅 비용 (Gas Fee) – Ethereum은 수수료 발생 (Polygon/Klaytn은 무료 가능)

5단계. 판매 설정

판매 방법은 고정가(Fixed Price), 경매(Auction)가 있는데 저는 고정가로 시작했고, 판매 수수료는 2.5~5% 들어갑니다.

6단계. 실제 판매 전략

실제 판매는 민팅보다 훨씬 어렵습니다. 그냥 마켓에 올려놓기만 해서는 거의 관심을 못 받아요. 그래서 노출을 시켜야 해요.

  • SNS(트위터, 인스타그램)로 AI 그림과 NET 링크를 꾸준히 올리기
  • 디스코드 등 NET 커뮤니티 참여하여 정보도 얻고 홍보도 병행
  • 카테고리/키워드 최적화 → OpenSea 내에서 제목이나 태그에 digital art, Ai art 같은 키워드도 신경 써서 검색에 걸리도록 해야 해요.

단순 등록만으로는 판매가 어렵기 때문에 마케팅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

7단계. 수익 정산과 세금

운 좋게 소량의 판매가 이뤄졌는데, 수익은 MetaMask 지갑으로 바로 들어갑니다.

  • 수익은 지갑으로 자동 입금
  • 원화 출금 시 거래소(Korbit, Upbit) 연결 필요로 절차가 좀 복잡했어요.
  • NET 소득은 해외 수익으로 분류, 5월 종소세 소득 신고 필수

결론

AI로 만든 그림도 충분히 NET 될 수 있고, 직접 판매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한 장의 그림은 NET로 만드는 건 시작일 뿐이고, 꾸준한 홍보와 자신만의 스타일을 담아야 비로소 수익으로 연결됩니다.

저처럼 천천히 하나씩 해보시는 걸 추천해 드려요. AI와 NET이 결합된 새로운 디지털 아트 세계를 충분히 도전해 볼 만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