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저축계좌2는 최대 720만 원을 지원해 주는 획기적인 제도입니다.
내가 매달 10만 원 이상을 계좌에 넣으면 정부가 지원금을 1년차 매달 10만 원, 2년차 매달 20만 원, 3년차 매달 30만 원을 지원하여 저소득 가구의 자활·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지원사업입니다.

희망저축계좌2 가입 대상
-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주거·교육 급여 수급 가구 및 차상위계층
- 일하는 가구를 우선 적용하기 때문에 근로·사업소득이 있어야 함

※ 희망플러스 통장 등 정부ㆍ지자체 예산을 통한 유사 자산 형성 지원사업 참여자는 중복 참여 불가
※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꿈나래, 디딤씨앗 통장 참여자는 중복 참여 가능
희망저축계좌2 신청 기간
- 1차(4월): 2025. 4. 1.(화)~4. 22.(화)
- 2차(7월): 2025. 7. 1.(월)~7. 22.(화)
- 3차(10월): 2025. 10. 1.(수)~10. 24.(금)
지원 조건
- 매월 본인 저축액 10만 원 적립
- 3년간 근로활동 지속
- 자립 역량 교육(10시간) 이수
- 자금 사용 계획서 제출
※ 희망저축계좌2를 3년간 가입 후 지원 요건 충족하면 정부 지원금 (’25년 이후 가입자) 10만원 (1년차), 20만원 (2년차), 30만원 (3년차) 매칭하여 지원합니다. 3년간 720만 원입니다.
추가 장려금
- 내일 키움 장려금: 가입자가 자활 근로 사업단에 전월 12일 이상 성실 참여한 경우(20만 원)
- 내일 키움 수익금: 가입자가 자활 근로 사업단에 전월 12일 이상 성실 참여한 경우(최대 월 15만 원)
※ 추가 장려금은 자활근로 사업단에 참여 중인 가입자에 한해 지급하며, 근로 유지형, 인턴·도우미형은 제외됩니다.
3년 만기 얼마가 될까?
희망저축계좌2는 내가 적립한 원금과 정부 매칭 지원금에 은행 이자를 더한 만기 금액은 얼마나 되는지 계산해 봅니다.
| 월 납입액 | 원금 | 정부 지원금 | 은행이자(3%) | 만기금액 |
|---|---|---|---|---|
| 10만 원 | 360만 원 | 720만 원 | 166천 원 | 1,096만 원 |
| 20만 원 | 720만 원 | 720만 원 | 333천 원 | 1,473만 원 |
| 30만 원 | 1,080만 원 | 720만 원 | 499천 원 | 1,849만 원 |
※ 정부 지원금에는 은행이자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은행 금리는 농협 약 3.1%, 신한 약 2.9%, 우리 약 2.7%가 적용됩니다. 자세한 건 해당 은행에 문의를 해야 정확한 금리를 알수가 있습니다.
※ 본 콘텐츠는 일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 전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신청시 주의사항
- 국가 또는 지자체가 인건비 전액을 직접 지급하는 재정 지원 일자리 사업(공공근로 등) 및 사회적 일자리 서비스 사업(노인, 장애인 일자리사업 등) 소득은 근로소득 범위에서 제외됩니다.
- 통장 개설 후 본인 적립금 미입금 시 통장 해지될 수 있습니다.
- 본인 적립금은 매월 1일~20일 입금 마감일 이전 자동 이제가 원칙이며, 이후에는 당월 본인 적립금 입금이 불가(정부 지원 불가)합니다.
- 3년 만기 시점에 해지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환수 해지(정부지원금 미지급) 될 수 있습니다.
- 지원금을 1번이라도 수령한 경우 동일 통장에 재가입은 불가합니다. (단, 과거 중도해지 자는 재가입 가능)
- 유사 자산 형성(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청년 내일채움공제, 미래행복통장 등)에 참여하고 있거나 과거 혜택을 받은 가구는 중복참여 불가합니다.
- 압류 ‧ 가압류 시 중도환수해지(정부지원금 미지급) 됩니다.
✅출처: 남양주시청, 관악구청, 공공기관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 본 콘텐츠는 정부·공공기관의 공개자료를 인용하여 작성된 정보 제공용 콘텐츠입니다.
투자, 수익, 금전적 결과를 보장하지 않으며, 실제 결과는 개인의 상황과 제도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