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준비, 막막하고 불안하신가요? 수많은 자기소개서를 쓰고, 면접을 보러 니는 길 위에서 이 길이 맞나? 라는 고민을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좋은 중소기업을 찾기란 하늘의 별 따기처럼 느껴지기도 하죠. 하지만 정부가 기업에 직접 청년 일자리도약 장려금을 주면서 청년 고용을 독려하는 제도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이 제도의 모든 것을 한눈에 정리해 볼게요.

청년 일자리도약 장려금이란?
이 제도는 고용보험 이력이 없는 취업 애로 청년을 정규직으로 고용하는 중소기업에 정부가 2년간 최대 1,200만 원의 지원금을 주는 사업입니다. 사업주 및 근로자를 지원하여 청년의 신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청년 고용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원합니다.
고용24 홈페이지 → 취업 지원 → 청년 일자리도약 장려금 → 온라인 신청하기
지원 내용
- (유형 Ⅰ)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에서 취업 애로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
- 6개월 이상 고용유지 시 1년간 최대 720만 원 지원
- (유형 Ⅱ) 빈 일자리 업종의 우선지원대상기업에서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
- 6개월 이상 고용유지 시 1년간 최대 720만 원 지원
- 해당 기업에 6개월 이상 재직한 청년에게 480만 원을 지원
용어 이해하기
- 우선지원대상기업 기준
- 제조업: 상시근로자 수 500명 이하
- 광업, 건설업, 운수업, 통신업 등: 300명 이하
- 도소매업, 숙박, 음식업, 금융, 보험업 등: 200명 이하
- 기타 업종: 100명 이하
- 취업 애로 청년
- 6개월 이상 연속 실업상태에 있는 청년
-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상실일로부터 6개월 이상 경과한 경우
- 예외 조건: 고졸 학력인 청년, 고용촉진장려금 지급 대상자,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후 취업한 청년, 청년도전지원사업 수료 청년, 보호종료아동, 자영업 폐업이후 최초로 취업한 청년,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2개월 미만인 청년, 특례대상 청년
- 빈 일자리업종
- 일자리 부족한 업종으로 제조업, 한국표준산업분류 대분류 C. 제조업에 해당하는 모든기업
지원 대상 및 조건
청년 일자리도약 장려금은 기업이 신청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제도의 대상이 되는 청년의 조건이 매우 중요합니다.
청년 대상자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 충족)
- 만 15세~34세 청년 (군필자는 복무기간에 비례해 최대 만 39세까지 인정)
- 연속하여 4개월 이상 실업 상태
- 고졸 이하 학력, 국민취업지원제도 등 특정 취업 지원 프로그램 이수자
- 폐업 자영업자,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2개월 미만
기업 대상자 (주요 조건)
- 5인 이상 우선지원 대상기업 및 중견기업 (일부 지식서비스/문화산업 등은 1~4인도 가능)
- 신청일 직전 1년간 고용 조정으로 근로자를 해고한 이력이 없어야 함
이 제도는 고용보험 이력이 없거나 매우 짧은 취업 준비생을 위한 제도입니다. 정부24에서 본인의 고용보험 가입 이력 내역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업(사업주) 신청 절차
기업은 청년 일자리도약 장려금 사업 참여 신청 후 기업과 근로자의 요건 충족 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고용24에서 참여 신청 및 채용계획서 제출
- 참여 신청기업에 대한 심사·승인
- 기업이 청년 채용 후 해당 청년에 대한 취업 애로 청년 조건 심사·승인
- 입사 6개월 이상 근무 유지
- 지원금 신청 및 심사·지급
참여신청서 처리 절차

주의 사항
-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참여하여 지원금을 받은 경우는 지원금 반환 및 공공재정환수법에 따라 제재부가금을 부과하고 수사기관에 통보될 수 있음
결론
정부지원금은 빨리 찾아 먹는것 임자라는 말이 있습니다. 정부의 지원제도는 무수히 많고, 그걸 몰라서 지원받지 못하는 기업, 자영업자, 개인 등도 많습니다. 신청과 절차가 번거울 수 있지만 그 정도 수고는 기업의 역량을 키우는 계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 출처: 정부24, 고용24 홈페이지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 본 콘텐츠는 정부·공공기관의 공개자료를 인용하여 작성된 정보 제공용 콘텐츠입니다.
투자, 수익, 금전적 결과를 보장하지 않으며, 실제 결과는 개인의 상황과 제도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함께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