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연말정산 때마다 13월의 월급이라고 얘기를 하지만, 생각보다 환급을 받는 사람들이 줄어들고 환급액도 적어 실망하는 직장인이 많습니다. 세액공제 항목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오늘은 소득공제용 연금저축에 관해서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900만 원을 어디든 투자하여 1년에 16.5%의 수익을 올리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연금저축이란?
일정 기간 납입 후 연금 형태로 인출할 경우 연금소득으로 과세되는 세제 혜택 금융상품입니다.
금융회사에 따라 명칭과 운영 방식이 다릅니다.
소득공제용 연금저축은 만 55세 이후에 연금 수령을 해야 세액 혜택을 볼 수 있으며 중도에 해지할 경우는 받았던 세액에 대한 불이익이 있습니다.
| 구분 | 금융사 | 특징 | 추천 대상 | 원금 보장 | 예금자 보호 |
|---|---|---|---|---|---|
| 연금저축펀드 | 증권사 | 펀드·ETF 투자 가능, 높은 수익률 기대, 원금 자유 적립 | 적극적 투자 | 비보장 | 비보호 |
| 연금저축보험 | 보험사 | 확정금리형, 원금 정기 납입 | 안정적 성향 | 보장 | 보호 |
| 연금저축신탁 | 은행 | 원리금 보장, 원금 자유 적립 | 보수적 성향 | 비보장 | 보호 |
세액 공제율
연금저축 + 개인형 퇴직연금 IRP
| 종합소득 과세표준 | 총급여액 (근로소득금액만 있는 경우) | 세액공제 한도 주1 | 공제율 |
|---|---|---|---|
| 4,500만 원 이하 | 5,500만 원 이하 | 9백만 원 | 16.5% |
| 4,500만 원 초과 | 5,500만 원 초과 | 13.2% |
주1)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액(6백만 원)을 포함하여 최대 9백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소득공제용 연금저축 알아보기

여유가 된다면 세액공제를 모두 받기 위해서는 개인형 퇴직연금 IRP에 연 300만 원을 넣어서 총 900만 원에 대한 세액공제를 받는 것이 좋겠죠.
| 구분 | 연금저축펀드 | 개인형 퇴직연금 IRP |
|---|---|---|
| 가입자격 | 누구나 | 근로소득자 자영업자(소득 필요) |
| 세액공제 |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16.5% (최대 1,485,000원) 총급여 5,500만 원 초과 13.2% (최대 1,188,000원) | |
| 세액공제한도 | 연 600만 원 | 연 900만 원(연금저축에 납부금 없을 때) 연 300만 원(연금저축에 600만 원일 때) |
| 연금저축펀드 + 퇴직연금 IRP 포함 연 900만 원 | ||
| 연간 납입 한도 | 연금저축펀드 + 퇴직연금 IRP 포함 연 1800만 원 | |
| 소득세 | 배당소득세, 국내 상장 해외 ETF 매매차익에 15.4% 과세이연(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 3.3~5.5% 부과) | |
| 투자종목 | 펀드, ETF, 리츠 등 | 예금, 펀드, ETF, 리츠 등 |
| 주식 개별종목 매매 불가 | ||
| 주식형 자산 투자 한도 | 100% | 70% 안전자산 종목 30% |
| 연금 수령 시 과세 | 55~69세(5.5%) 70~79세(4.4%) 80세 이상(3.3%) 만 나이 기준이며 지방소득세 포함 | |
ISA 계좌 만기 자금 이전

절세 계좌인 ISA 계좌도 많은 사람이 가지고 있을 텐데 3년 만기가 되면 ISA 계좌를 해지하고 연금저축이나 IRP 계좌로 만기 자금을 이전하면 이전 자금의 10%(최대 300만 원)를 추가로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 300만 원 x 16.5% = 495,000원을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세액공제만을 위한 계좌 개설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매년 소득공제용 연금저축 세액공제를 받고 중도에 목돈이 필요해서 계좌를 해지하면 16.5% 기타 소득세로 분리과세 됩니다.
따지고 보면 소득공제용 연금저축으로 세액 공제받은 16.5%는 받았던 것을 한 번에 뱉어내는 것이고 손해라고 하면 계좌에서 발생한 운용수익에 16.5% 기타 소득세를 더 내는 것이니 운용수익이 많으면 손해도 늘어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국세청, 증권사 홈페이지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 본 콘텐츠는 정부·공공기관의 공개자료를 인용하여 작성된 정보 제공용 콘텐츠입니다.
투자, 수익, 금전적 결과를 보장하지 않으며, 실제 결과는 개인의 상황과 제도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함께 읽어보세요